1. 영화 <1987> 줄거리
영화 <1987>은 2017년 12월 27일 개봉한 한국 역사 영화다. 기존의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가 아닌 현대사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던 작품으로 평가되었고, 특히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겪었던 세대가 현재 기성 세대로 성장해 사회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으로 포진해 있다는 점도 커다란 공감대를 불러 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영화 제목인 <1987>은 1987년 6월에 발생했던,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에서는 절대 빼놓을 수 없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을 의미한다. 영화 <1987>의 줄거리는 1987년 1월 발생했던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으로부터 시작한다. 1987년 1월, 경찰과 안전기획부(이하 '안기부')의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의 서울대학교 대학생 '박종철'이 경찰의 방조와 안전기획부의 주도하에 물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 사태에 대해 증거인멸을 하기 위해 박 처장 주도하에 경찰은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박종철 사망 당시 당직 근무를 하고 있던 최 검사는 이에 이상한 낌새를 눈치채고 부검을 밀어 붙인다. 단순히 경찰 조사 과정에서 쇼크로 인해 사망했다고 발표한 경찰의 입장과는 달리,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건을 취재하던 윤 기자는 '물고문 도중 질식으로 인한 사망'을 보도하게 도고, 박 처장을 비롯한 안전기획부 요인들은 이를 은폐하고자 하지만, 교도소에 수감된 조 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듣게 된 교도관 병용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 민주주의 운동가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희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이한열' 열사와 조우하고,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이 개입하게 되면서 1987년, 거대한 6월 민주항쟁의 흐름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2. 역사적 배경
부제가 'When the Day comes(그 날이 오면)'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영화는 전면에 '1987'이라는, 한국현대사의 커다란 변곡점이자 중요한 일련의 사건전개를 포함하는 상당히 상징적인 숫자를 내세우고 있다. 사실, '6월 민주항쟁' 혹은 '한국 민주화 혁명' 등 다양한 용어들이 제목을 대변할 수 있었지만 장준환 감독이 굳이 '1987'이라는 다소 투박하고 거친 느낌의 숫자를 영화제로 정한 것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바로 앞서 언급했던 몇 가지 예시가 그 해에 일어났던 주요 국면과 사건들을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오히려 영화 1987은 제목부터 상당히 합리적이고 차분하게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다.
그러나 내용은 감독의 초반 메시지와는 달리 매우 격정적이고 운동감있게 진행된다. 전체적으로 선각자적 태도를 가진 대학생들을 필두로 불의에 대한 지식인들의 항쟁, 그리고 민주화의 성취과정을 스토리의 골자로 하지만, 이를 결코 지루하거나 질질끄는 식의 뻔함으로 대체하지 않는다. 이전 영화들과 스토리의 맥락은 같이하되, 화면전환이라던지 긴장의 형성과 이완이 매우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민주화의 박진감과 전율을 느껴지게 한다.
무엇보다도 눈에 띤 점은 아무것도 엮이기 싫어하는 감성충만한 대학생 '연희'의 성장과정은 영화내부에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 자체다. 연희는 영화 초반 정치라는 거창한 말은 커녕, 민주화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현실적 시각으로 본인의 의견 개진조차 하지 않았다. 그러나 - 가상의 설정이기는 하지만 - '이한열 열사'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에게 비밀스러운 호감을 느끼며 영화 마지막 부분 민주화의 바리케이트를 상징하는 버스위에 올라서 타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며 민주화의 구호를 외친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실의 삶에 쫓겨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는 언젠가 뭉쳐 우리 본연의 가치와 권리를 되찾기 위해 뜨거운 열망을 포효하던 때가 있었고 우리가 피로써 얻은 권리를 지켜가기 위해서는 연희와 같은 성장과정이 필요하다라는 감독의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상징과 메타포가 영화의 대부분을 지배한다.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사건의 전말이 박열사의 영정사진으로 전환되는 효과나,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맞는 장면 등 모든 것이 직간접적으로 상징화 과정을 거쳐 표현된다.
오랜만에 가슴이 아리고 한편으로 뜨겁게 해준 완성도 있는 영화,
1987을 나는 결코 잊지 않을 것이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러빙 빈센트> 빈센트 반 고흐 실화 예술 영화 줄거리 및 해석 (0) | 2023.01.14 |
---|---|
영화 <완벽한 타인> 이서진·유해진 주연 한국 코미디 영화 줄거리, 의미 (1) | 2023.01.14 |
영화 <신과 함께 2 : 인과 연> 신화 판타지 영화 줄거리 및 의미 (0) | 2023.01.14 |
영화 <안시성> 조인성 주연 역사 영화 줄거리 및 역사적 배경, 명대사 (0) | 2023.01.14 |
영화 <미스터 노바디> 철학 영화 줄거리 및 의미 해석 (0) | 2023.01.13 |